2010년 3월 26일 금요일

기업실적은 주가 2000 때보다 더 좋아

코스피가 1700선 언저리를 맴돌고 있지만 국내 대표 기업들 실적은 코스피 2000시대를 열었던 2007년보다 오히려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출구전략 시행 가능성 등 외부 여건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기업 가치만 따지면 2007년보다 지금이 더 주식에 투자하기에 매력적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의 올해 주당순이익(EPS) 컨센서스(시장 전망치)는 평균 9722원으로 2007년 6174원에 비해 57.5%나 늘었다.


금융위기 후 혹독한 시절을 거쳤지만 현재 기업들 재무구조도 당시보다 오히려 개선됐다. 100대 상장사의 2007년 부채비율 평균은 163.1%, 유보율은 1736.2%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0년 부채비율과 유보율은 각각 145.7%와 2281.6%였다. 기업 부채는 줄고 곳간은 보다 튼실해진 것이다. 2007년 21.4%에서 22.5%로 소폭 늘어난 차입금 비율 정도에서만 금융위기의 상흔이 남아 있을 뿐이다.


이처럼 기업 실적 전망은 장밋빛이지만 코스피 1650~1690선 박스권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출구전략 등 불확실한 변수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내 기업 자체 체력과 수익성은 좋아졌지만 유럽 등 해외에서 터질 돌발변수에 국내외 투자자들이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수급 부족으로 연결된다. 투자자들은 떨어지거나 올라간다는 확신만 보이면 증시에 돈을 태운다는 마음으로 장을 쳐다보고 있다. 5월 상장하는 삼성생명이 그나마 남은 투자 수요를 대기 물량으로 바꾸면서 수급구조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


지나친 장밋빛 실적 전망 자체가 주가의 발목을 잡는다는 견해도 있다. 중형사 시황담당 연구원은 "애널리스트의 실적 추정치 평균을 보면 올해 기업들 이익 총계가 지난해보다 60% 가까이 급증할 것이라고 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믿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김대원 기자] (매경 2010년3월27일 보도)


2010년 3월 23일 화요일

Big in Japan

Big in Japan.
말을 그대로 풀면, 일본에 있는 큰 회사 정도 됩니다.
그런데 이 회사는 미국 달라스(Dalls)에 있습니다.

일본인이 만든 회사일까요?
그렇지도 않습니다. 홈페이지에서 회사소개란을 들어가 보면 보기에는 대부분 서양인입니다.

뭐하는 회사일까요?
일본 전통음식인 스시? 그렇지도 않습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만드는 회사입니다.

그러면 왜 Japan을 상호에 넣었을까요?
소프트웨어 하면, 일본이 단연 1위라는 이미지 때문이라고 합니다.

일본이 "한국을 따라잡자"고 엄살을 부리는 요즘입니다.
그러나 Big in Japan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은 우리가 무시할 수 있는 나라는 아닌 듯 합니다.
언제쯤 Big in Korea가 나올 수 있을까요?

/ 김대원

2010년 3월 19일 금요일

돈도 도는 순서가 있다

2010년 3월.
한국 시장의 자금은 게임판 밖에서 돌고 있습니다.
부동산으로 가기도 그렇고, 증시로 몰리기도 그렇고, 채권으로 가기도 그렇고.

자금 흐름을 주도하는 자산가들은 지금 자금을 쥐고 있을 뿐입니다.
그러면 나중에 자금은 어떻게 돌까요?

물꼬가 터지면, 한꺼번에 채권, 증시, 부동산 할 거 없이 돌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위험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흐름니다.

마치, 머슬로우의 욕구 단계 이론(A Theory of Human Motivation) 처럼 말입니다.

머슬로우의 욕구 단계 이론은 다섯 단계로 구분되지요.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 욕구, 존경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정리하면 잠, 음식, 배설의 욕구가 해결되면 그 다음에 인간은 안전을 찾습니다.
그리고 난 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말처럼 한 조직에 소속되길 바라죠.
그런데 그 조직 안에서 구성원들로 부터 존경의 대상이 되길 바라구요.
이 모든 게 해결되면, 자신이 꿈꾸는 자신의 모습이 되길 희망합니다.

하나의 욕구가 채워지면 다른 욕구가 생기듯
자금도 위험성에 따라 차근 차근 돕니다.

은행에 몰려 있던 자금이 당장 원금을 까먹을 수 있는 위험이 있는 증시로 당장 향하지는 않습니다.
일단 중간 단계로 채권으로 가지요. 채권은 회사가 망하면 휴지가 되지만, 망하기 전에는 은행 금리 보다는 높은 이율을 주는 상품입니다.
은행이 채권보다 안전하냐구요? 두말해야 잔소리입니다.
보통 국가의 대표 은행은 해당 국가 보다 신용등급이 한 단계 높습니다. 나라는 망해도 은행은 안 망한다는 얘기지요. 예금자 보호법 등 제도적인 틀도 만에 하나의 위험을 방지하기도 합니다.

채권에서 위험성을 자신을 갖게 되면, 이제 더 큰 이율을 노리고 증시로 갑니다.
고수익에는 고위험이 따르지만, 이미 투자자는 돈을 번 뒤의 생각으로 가득차 있기 마련입니다.

우리나라에 돈은 언제쯤 다시 돌까요?
지금 은행에서 채권으로 이동 중이니, 증시로 까지 이동하려면 꽤 걸릴 것 같습니다.

/ 김대원

돌쇠의 승리

다소 도발적인 제목입니다.
현대차 입장에서는 천박한 표현이라며 문제 제기 할 지도 모르겠네요.
그러나 정몽구 회장의 우직함을 표현하는 말로 '돌쇠'란 표현이 적확하다는 판단에 넣었습니다.
(정 회장님과 임직원들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2009년도 절반이 넘어갈 즘,
서울 소재 한 명문대 경영대학장을 뵈었습니다. 사전에 사적으로, 공적으로 교류가 있었던 터라 스스럼 없는 얘기들을 나눴습니다.

그 와중에 현대차 얘기가 나왔습니다.
"왜 이렇게 현대차가 잘 나가나요?"란 제 질문에 대한 그 분의 답은
"품질에 집착했던 정몽구 회장"이었습니다.

그 분은 이어 "2000년대 초반 때도 생산공장 방문에 많은 비중을 돌아다니시고, 어찌 보면 국내 굴지의 대기업 CEO 답지 않은 모습이었다"며 "그 모습이 학계에서는 무모할 정도로 까지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까지 현대차 연구원으로 근무했던 한 인사의 얘기 있습니다. 이 분은 지금 금융권에 있습니다.
그 분 왈, "정몽구 회장이 생산공장에 뜨면 그 공장은 그 날은 회식하는 날이라고 소문이 돌았어요"라며 "회장 비서 분이 들고 다니는 007가방에는 공장 직원에게 하사할 돈이 들어있다는 말도 있었지요"라고 당시 소문의 한 자락을 들려줬습니다.

품질의 도요타가 품질 때문에 무너지고 있습니다. 사상 최고의 위기라는 말까지도 나옵니다.
반대 급부 격으로 현대차는 기회가 도래한 셈입니다. 현대차 입장으로서는 정 회장의 우직함으로 다져온 품질이 제 가치에 걸맞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왔습니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긍정적인 결과가 오길 고대합니다. 도요타 사태 이후 현대차에 대한 애널리스트 평도 좋네요.

그래도 첨언한다면
국내 소비자를 봉으로 여기고, 내수용 보다는 수출용 차에 신경쓴다, 내수용 품질은 아직 멀었다...
이런 현대차 안티팬들의 마음도 헤아려 줄 수 있을 정도로 큰 회사가 되길 바랍니다.

/김대원

2010년 3월 6일 토요일

공모주 러쉬가 우려되는 까닭


-삼성생명 등 최대 15조원 물량 쏟아져
-물량 넘치면, 공급 과잉으로 주가 악영향

올해 공모 물량 규모는 생보사 3인방이 삼성생명(3조5000억원), 대한생명(2조원), 미래에셋생명(5000억원)으로 합쳐서 6조원,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공기업,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증권금융 만도기계 등 민간 대어급까지 합치면 최소 13조원에서 15조원까지 추산된다. 한 중형사 IB본부 임원은 "물량 규모는 올해가 사상 최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량 홍수 예상에 기업공개(IPO) 주간을 맡는 증권사 IB(투자은행) 파트 쪽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주가가 기업가치를 유통 물량 수로 나눈 값임을 감안하면, 시장에서 물량 증가는 곧 기업가치를 희석시켜 지수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대형증권사 IB본부장은 "올해, 내년 주가에 가장 큰 이슈는 수급"이라며 "올해 예상된 물량이 다 쏟아져 나오면 시장에서 소화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흡수되지 않는 물량은 시장에 남아 주가를 내릴 여지가 충분하다.
신규 상장 건 수와 시장 수익률 간은 역의 관계를 보였다. 2000년 이후 10년 간 신규 상장 건 수와 수익률 간 상관관계가 코스피는 -0.26, 코스닥도 -0.26이었다. 상관관계 지수가 1에 가까울 수록 두 변수가 상관성이 높고, 0에 가깝다면 상관성이 낮다는 뜻이다. 마이너스(-)는 두 변수가 반대로 움직인다는 얘기다.이종우 HMC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주가에 근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적이고, 수급은 첨가되는 것"이라면서도 "물량이 지나치게 늘면 기업의 실적 개선도 힘을 못 쓸 수 있다"고 말했다.

/ 김대원

방망이 짧게 쥔 부자들

방망이 짧게 쥔 부자들

- 출구 전략으로 불투명성 커진 시장 대처법
- 3~5개월 짜리 CP 인기
- 역으로 금리 인상 선반영 된 5년 이상 채권도 인기향후

각국의 정책 변화에 출렁임이 클 주식과 부동산 시장은 부자들은 한 걸음 떨어져 바라보고 있다.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주식과 펀드의 비중을 대폭 낮춘 뒤 관망하는 거액 자산가가 적지 않다.흥미로운 점은 채권 투자 전략은 극과 극으로 나뉜다는 것이다.
우선 1년 이상 돈을 쟁여놔 고수익을 노리기 보다는 짧게 투자해 안정된 투자 수익을 벌려는 성향이 짙어졌다.
이러한 부자들의 입맛에 맞는 상품이 기업어음(CP)이다. CP의 만기까지의 기간은 보통 3~5개월이다.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의 어음은 연리로 따져 7% 안팎의 수익을 주기도 한다.
특판 정기예금이 5% 대 초반이고, CMA와 MMF가 3% 수준임을 감안하면 고수익 상품이다. 신용등급 BB의 기업이 발행한 CP도 부자들은 손을 댄다.
반대로 만기가 5년 이상 남은 장기채권의 인기 상품이다. 만기가 긴 상품은 금리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5년 이상 장기채권의 경우 금리 인상이 이미 선반영됐다고 본다.출구 전략 등으로 향후 수익 전망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가진 돈을 뺏기지나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 드는 비과세 상품의 인기도 여전하다.
표면금리가 0%이기 때문에 금융소득 자체가 없어 비과세 대상인 국민주택2종채권과 물가 상승분은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는 물가연동채권이 2010년 1월 부자들이 찾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이다.

/ 김대원